Stroke color : val drawable = view.background as GradientDrawable drawable.setStroke(3, ContextCompat.getColor(context, R.color.colorWhite)) // width and stroke color Solid color : val drawable = view.background as GradientDrawable drawable.setColor(ContextCompat.getColor(context, R.color.colorWhite)) // solid color resource_border.xml
프로젝트 생성 후 앱 이름을 변경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string.xml 파일을 들어가보면 (파일을 쉽게 찾고 싶다면 shift를 두 번 연속 누르고 검색하면 된다.) AppName 위의 app_name 이라는 Resource 가 있을 것이다. 해당 부분을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 후 AndroidManifest.xml 로 이동한다. @string/app_name 이 사용된 곳이 두 곳이 보일 것이다. 해당 부분을 변경해 주면 앱 이름이 변경된다.
Android studio 에디터 화면에서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자동으로 줄바꿈이 일어난다. 이 부분 때문에 코드가 자동으로 줄바꿈 되면서 내가 원치 않게 코드 라인이 보여지는 경우가 있다. 이 부분을 수정해 보자. Mac 기준 상단 메뉴 Android Studio Click -> Preferences -> Editer -> Code Style Hard wrap at 부분을 수정해 주면 된다. 처음 기본 값은 아마 100 으로 설정되어 있을 텐데, 자신이 원하는 수치만 큼 조절 하면 라인당 최대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Android Studio Version 3.5.3 참고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0851617/how-to-set-max-line-length..
토이 프로젝트에서 기존 FCM의 Message 전송 방식을 사용하다가, 토큰이 계속해서 누적이 되면서 전체 푸시를 보낼 때, 점점 반응이 느려지기 시작했다. 기존방식은 fcm.send(message) 로 보냈었는데, var message = { data: { message : { type:'100', channel: '100', title: '메시지가 도착했습니다.', content: tempMsg } }, to: "토큰" }; message의 to 또는 registration_ids 를 통해 한번에 여러 기기에 보내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위의 방법은 단점이 있다. 첫 번째 to는 단일 사용자에게 보내는 방식으로 여러 명에게 보내려면 반복문을 돌면서 실행시켜야 하며, 이는 나 같이 적은 리소스를 가지고 ..
걷기 운동은 주말마다 하는데, 글은 오랜만에 작성하는 듯하다. 새해부터는 친구 한 명이 추가로 주말마다 걷기 운동에 동참하여 3명이서 하고 있다. 이번 주에 갔던 코스는 광명!!! 가산디지털 단지에서 출발했는데 생각보다 거리가 가까워서 자체적으로 난이도를 조절해서 산을 올라갔다. 첫 번째 산은 이름 모를 동네 뒷산 같은 곳을 뛰어 올라가서 정상을 찍고 내려왔고, 두 번째 오른 산은 광명 동굴인데 길이 아주 잘 되어 있어서 오르기가 쉬웠?다. 분명 사진에 보이는 곳까지는 금방 올라갔는데, 친구가 너무 쉽다고, 다른 길(개고생 길)을 찾아서 산을 전체적으로 구경할 수 있었다. 광명 동굴에서 내려와 간 곳은 코스트코!! 정말인지 쇼핑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천국과 같은 곳이었다.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코스트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