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2025/1/7 일자 내용 퍼옴 전력 관리에 설명된 것처럼 시스템은 여러 가지 이유로 앱에 전력 제한사항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다음 표는 현재 부과된 제한사항을 요약한 것입니다. 이러한 제한사항은 기기가 충전되는 동안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적용 가능한 것 중에서 가장 강력한 제한 설정이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가 활성 상태이고 앱이 드물게 사용 버킷에 있다면 Firebase 클라우드 메시징(FCM)에 관한 더 엄격한 앱 대기 버킷 제한이 적용됩니다.참고: 이 표의 값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 값은 예시로 제공된 것이며 배터리 수명과 시기적절한 콘텐츠 업데이트 간의 균형을 개선하면 변경될 수 있습니다.사용자가 백그라운드 활동 제한 제한사항 사용:경험한 적 없음사용 안 함제한 없음제한..

Android build시 가끔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올때가 있다. Unsupported class file major version 65좋지않다.... 1. Flutter 프로젝트 일경우 Android 프로젝트로 open후 File -> Project Structure 설정을 연다. 2. 좌측 메뉴에서 SDK Location을 누른후 파란색 그자 Gradle Settings 를 누른다.3. Gradle JDK 를 적당한 버전으로 변경해야 한다. 4. JAVA HOME 으로 변경 5. .zshrc 파일 수정이 필요하다.터미널에 vim .zshrc 을 입력한다.vim .zshrc아래 내용을 복붙후 저장한다. export JAVA_HOME=/Users/your_device_account/Library/..

Firebase apple login을 통해 Android Apple 로그인을 하려고 하는데, 설정하는 화면이 좀 바뀌었네요. 여기저기 찾아보다가 업데이트된 Firebase 설정을 찾을수가 없어서 직접 글을 남겨요. 1. Firebase Console -> Authentication -> Sign-in method 탭 클릭 2. 추가 제공업체에서 apple login 클릭 3. 이제 아래 번호 순서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4. 1번 항목은 사용 설정을 On 해주세요. 5. 먼저 Apple 에 service id 를 등록해야 해요. 이전 글에서 설정 방법을 보시고, login call back url 을 1번 항목을 적용 해주세요. https://sweetcoding.tistory.com/239 Andro..

Android 에서 apple 로그인을 할때 인증서 설정 부분에 대해서 간단하게 메모를 남기려 합니다. App ID 추가 1. identifier 탭에서 + 를 누르고 App IDs 선택후 Continue 2. App 누르고 Continue 3. 만들려는 App 과 똑같은 bundle id로 기입 4. Capabilities -> Sign In with Apple 체크 5. continue 후 register 를 눌러 마무리 Service id 1. identifier 탭에서 + 를 누르고 Service IDs 선택후 Continue 2. 대충 식별 가능하도록 네이밍 해서 continue 및 register 까지 완료 하여 생성 3. 다시 identifiers 탭에서 빨간색 네모 부분은 Services ..
이거는 그냥 Flutter 빌드중 에러가나서 메모 해두는거에요 이슈 내용 : 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 What went wrong: Execution failed for task ':app:processDebugMainManifest'. > com.android.manifmerger.ManifestMerger2$MergeFailureException: Error parsing /Users/xxxx/Documents/xxx/.android/app/src/main/AndroidManifest.xml 해결 : AndroidManifest.xml 파일에서 아래 코드를 추가해 주면 됩니다. xmlns:tools="http://schemas.android.com/..

안드로이드 앱 이전시 새 개발자 계정 항목 이있습니다. 해당 항목은 개발자 이메일을 입력 하는게 아닌 구글 플레이 콘솔 (https://play.google.com/console)의 계정 세부정보 -> 개발자 계정 ID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Android Studio Dolphin | 2021.3.1 Patch 1 로 업데이트 하고 기존 Flutter Project 를 열어보니 The project 'xxxxx' is not a Gradle-based project 문구가 나오면서 플러터 빌드를 할수가 없다.... gradle 에 문제가 있나해서 내용도 바꿔보고, Flutter plugin 을 다시 설치도 해보고 sdk 경로도 다시 잡아주고, 별짓을 해도 안된다. Flutter 프로젝트가 아니라고 Flutter 메뉴도 보이지 않고 해서 그냥 터미널에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재실행 하니 다시 정상 동작 한다. 소중한 내 시간이 날아갔다... flutter clean flutter pub cac..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로그인이 어느순간 동작을 안하기 시작해서 무슨일인가 하면서 대략 5시간 이상을 코드를 고쳐가며 수정을 했다. 온갖 샘플 코드를 다 뒤지고 하다가 결국 원인을 발견했는데 이유는 간단했다 바로 API 버전 업그레이드를 14로 올렸던 것이다. 다시 최하 버전인 v8.0 으로 내리면 정상 동작 한다. 최신 버전으로 SDK 업데이트를 하여 당연히 API 버전 업그레이드도 이에 맞춰 변경을 했는데 로그인 시도를 하면 계속해서 cancel 로 콜백이 온다. 원인을 파악하기보다 페이스북 로그인은 없애버리자. 반토막난 주가!!!!
/** * Created by JeonGuKang on 24,11월,2021 * * 아래 주석은 하위 자식 CoordinatorLayout behavior 가 nestedscroll 시 동시에 작동 필요시 사용 * // consumed[0] = tConsumed[0][0] + tConsumed[1][0] // consumed[1] = tConsumed[0][1] + tConsumed[1][1] */ class NestedCoordinatorLayout @JvmOverloads constructor( context: Context, attrs: AttributeSet? = null, defStyleAttr: Int = 0 ) : CoordinatorLayout(context, attrs, defStyleA..
안드로이드 데이터 바인딩을 사용하다 보면 라이브 데이터를 세팅하기 전까지 xml에 라이브 데이터를 바라보는 뷰가 감춰져야 하거나 특정 디폴트 상태를 유지해야 할 때 난감할 때가 있습니다. 만약 이를 막고자 라이브 데이터에 디폴트 값을 미리 넣어두면 옵저빙 시 호출이 되기 때문에 디폴트 값을 넣어주기도 애매하죠 아래 코드를 예시로 보겠습니다. 만약 ViewModel의 isShow 데이터를 바라보고 Visible과 Gone을 처리하는 뷰가 있다고 하면 이 뷰는 isShow의 데이터가 변경되기 전까지 화면에 보이고 있을 것입니다. API를 통신하여 세팅한다고 하면 API의 통신 속도에 따라 나타나고 사라지는 게 눈에 보일 정도가 될 것입니다. 이럴 경우 크게 눈에 띄지 않는 뷰면 상관이 없는데 전체적으로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