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를 통해 들어온 데이터를 Codable 을 통해 Model 에 Mapping 시키고 다시 해당 데이터를 Realm에 바로 넣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예시 Json Data 구조 입니다. { "string_data": "18C", "array_data1": [ { "language_code": "en", "name": "English" }, { "language_code": "ja", "name": "Japanese" } ], "array_in_object": { "array_data2" : [ { "title": "test1", "name": "test1 입니다." }, { "title": "test2", "name": "test2 입니다." } ] } } 이제 모델들을 정의 해보겠습니다...
Observable(여기서는 생산자라 지칭 하겠다) 은 Observer(여기서는 소비자라 지칭 하겠다)의 소비량이 늦어질경우 , 즉 소비량이 배출량을 따라가지 못 할 경우 Out of memorry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생기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와 생산자의 소통이 필요한데, 이러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게 BackPressure 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생산자에게 배출에 대한 처리가 완료 될때까지 기다리라고 요청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메시지 처리량이 포화상태가 되거나 응답하지 않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생산자는 배출 속도를 줄일 수 있다. Observable과 Observer 는 따로 백프레셔를 지원하지 않는데, 대신 Flowerbles 와 Subscriber를 사용할수 있다. 이부분은 다..
AsyncSubject onComplete 호출 시점에 가장 마지막 값을 배출한다. PublishSubject 구독 시점에 이어지는 값들을 배출한다. BehaviorSubject 구독전 마지막 값과 구독후의 모든 값들을 배출한다. ReplaySubject 구독 시점과 상관 업이 모든 값을 다시 전달 한다. 참고 : http://reactivex.io/documentation/ko/subject.html
ConnectableObservable 이란? Hot Observable 과 Cold Observable 둘다 사용 가능한 Observable 로서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Cold Observable Hot Observable 변환 가능 2. 한개의 Observable에 여러개의 구독을 할수 있으며, 기존의 Cold Observable 처럼 구독시 처음부터 아이템을 배출 하는게 아니라 이전에 호출된 모든 Observer 를 연결 하고 모든 Observer 에게 단일 푸쉬를 전달한다. fun simpleConnectableObservable() { val connectableObservable = listOf("Stream1", "Stream2", "Stream3", "Stream4").to..
observable.from() 과 observable.just() 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observable.from은 내부의 아이템들의 요소를 각각 배출하고 observable.just는 내부의 아이템들을 각각 배출하는데 알기쉽게 결과로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from 코드와 결과 이다. 코드 val fromObserver = object : Observer { override fun onComplete() { println("onComplete") } override fun onSubscribe(d: Disposable) { println("New Subscribtion = ${d}") } override fun onNext(item: String) { println("Next =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