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3일dbeaver 24.3.1 version 기준 1. dbeaver 프로그램을 실행 후 Database에 연결이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본인이 DDL 을 추출 하고자 하는 database를 선택 한다. 2. Database의 테이블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테이블을 선택한다. 3. 마우스 오른쪽 클릭 -> SQL 생성 -> DDL 을 클릭한다. 4. 본인의 용도에 맞게 내용을 복사하여 사용하면 된다. - 끝 -
1. 개발자 모드 ON2. 소스 -> 재정의- 지금 제 경우는 이미 위치를 설정해 두어서 별도 설정이 필요 없지만 처음 하시는분은 파일 위치 설정 후 상단에 권한 요청 팝업을 수락해 주세요.3. 새로고침4. 소스코드 수정 -> 저장 (Ctrl + s)5. 새로고침
2024/10/25 기준 Firebase 에서 제공하는 A/B 테스트 방법에는 크게 3가지가 있어요,Remote config, Messaging, In-App Messaging 를 이용해 테스트가 가능하고,이번 글에서는 Remote config를 이용한 A/B 테스트를 해볼게요.실험 만들기 a. Fireabase console → A/B Testing 이동 b. 실험 만들기 → 원격 구성 클릭c. 기본사항- 실험 이름, 실험 설명 기입 - 실험 이름이 같으면 Remote config에서 Group화 되어 보여진다.d. 타겟팅- 앱 선택 * OS 별 실제 A/B 테스트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 필수!!!! 한쪽만 노출될 가능성 있음* Android, iOS 한번에 두 OS 타겟팅은 불가함.* 실험을 한..
Xcode's output:↳ Writing result bundle at path: /var/folders/n2/wny1mx0n0zzflvm90bgt_rsm0000gn/T/flutter_tools.9EDmLo/flutter_ios_build_temp_dirNfnpBV/temporary_xcresult_bundle /Users/gangjeongu/.pub-cache/hosted/pub.dev/url_launcher_ios-6.2.4/ios/Classes/Launcher.swift:20:1: error: type 'UIApplication' does not conform to protocol 'Launcher' extension UIApplication: Launcher {} ..
2024/10/23 기준 메모 Firebase in-app messaging 관련 직접 실험 하면서 정리한 내용이에요. 참고만 해주세요. 제한사항캠페인 등록 후 즉각적으로 노출 안 됨앱이 완전히 종료된 후 재 시작시 노출 확인 가능앱삭제 후 재 설치 시 재 노출(디바이스당 한번 노출 옵션 설정)캠페인이 여러개 등록되었을시 가장 최신 캠페인이 먼저 노출, 그 이후 이전 메시지 노출실험으로 만든 캠페인은 실험 중지시까지 계속 노출이 됨.- 실험으로 만든 캠페인은 A/B Testing 에서 관리- 실험 중지 후 실험 삭제 가능작동이 잘 안될때에는 App 삭제후 재설치 필요 (캐싱으로 인한 원인으로 추측)전체적으로 노출 시점에 대한 예측이 힘듦실험으로 등록한 캠페인은 중지, 삭제 해도 노출 됨(베타) 결론즉각적..